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WMS와 WMTS 서비스에 대해 알아보고, QGIS와 연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WMS와 WMTS란 무엇일까요?
- WMS(Web Map Service): 1999년 Open Geospatial Consortium에서 개발한 표준 프로토콜로 인터넷을 통해 지리 참조 맵 이미지를 제공합니다. 이러한 이미지는 일반적으로 GIS 데이터베이스에서 제공하는 데이터에서 맵 서버에 의해 생성됩니다.
- WMTS(Web Map Tile Service): WMS와 비슷하지만, 미리 준비된 타일(Tile, 정사각형으로 나뉜 작은 이미지 조각)을 제공하여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지도를 로딩하는 방식입니다.
구분 | WMS(Web Map Service) | WMTS(Web Map Tile Service) |
데이터 제공 방식 | 요청 시마다 즉시 이미지 생성 | 사전에 생성된 이미지 타일(tile)을 제공 |
속도 및 성능 | 요청 시마다 이미지를 생성, 상대적으로 느림 | 미리 생성된 타일을 가져오므로 매우 빠름 |
최신성 | 최신 데이터가 즉각 반영 가능 | 미리 생성된 타일, 최신성이 약간 떨어질 수 있음 |
축척 관리 | 사용자가 원하는 자유로운 축척 가능 | 미리 정의된 특정 축척 단계만 사용 가능 (zoom level 단위) |
데이터 포맷 | XML, JPEG, PNG등 이미지 형태 | 미리 정의된 격자(Tile)를 기준으로 한 이미지 포맷 |
WMS와 WMTS의 장점은 항상 최신의 공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공간 데이터를 직접 다운로드하지 않아도 인터넷만 있으면 사용 가능합니다. 즉, 이미지 기반의 지도 서비스인 것이죠.
아쉽게도 WMS와 WMTS는 벡터 및 래스터 분석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단순 이미지 형태이기 때문에, 셀에 저장된 수치값 없이 RGB 값(색상정보)만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벡터 레이어 간 중첩 분석은 불가능하며, 주로 필지 경계가 실제 지형과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TIFF(GeoTIFF) 같은 일반 래스터 포맷과도 달라, 행렬 기반 공간 분석보단 시각적 참조용으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TIFF 데이터 픽셀값은 342(meter), 26°C(degree)처럼 값을 갖지만 WMS 이미지는 RGB(128, 135, 242) 같은 색상 데이터입니다. 만약 행렬 연산, 공간 통계 등 래스터 분석을 수행하고 싶다면 Image Classification 같은 방법을 통해 정량적 값으로 변환해야 합니다.(예: 식생 이미지를 이용하여 NDVI 지수를 생성 : QGIS의 Raster Calculator사용)
WMS와 WMTS의 이용 가능한 서비스를 알아보겠습니다.
브이월드(Vworld) 로그인 후, 인증키를 발급 받습니다.
https://www.vworld.kr/mypo/mypo_apiKey_i001.do
브이월드
국가가 보유하고 있는 공개 가능한 공간정보를 모든 국민이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을 제공합니다.
www.vworld.kr
개발키가 발급되면 클릭하여 키값을 복사합니다.
WMTS API 레퍼런스를 이용하여 WMTS GetCapabilities 요청 URL의 {key} 부분에 발급받은 key를 입력합니다.
QGIS에서 브이월드 WMTS를 연결합니다. 탐색기 패널 > WMS/WMTS 우클릭 > 새연결 > 이름 알아보기쉽게 입력 > URL 레퍼런스에 발급받은 key 부분만 교체하면 연결이 완료됩니다.
브이월드 WMTS의 5가지 타일이 연결되었습니다.
다음은 위와 비슷한 방식으로 WMS 레퍼런스를 이용하여 연결해줍니다. 연결된 WMS를 이용하여 자연환경보전지역 레이어를 빠르게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http://api.vworld.kr/req/wms?VERSION=1.3.0&key=
'GIS' 카테고리의 다른 글
QGIS : QField 소개 및 설치하기 (0) | 2025.04.16 |
---|---|
QGIS : 지번별 폴리곤(Polygon) 데이터 뽑아내기 (2) | 2025.03.15 |
QGIS : 폴리곤(Polygon) 형태의 shp파일 만들기 (0) | 2025.03.04 |